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해외여행중 전화를 걸거나 받았을 때 요금

통신사별 해외로밍서비스요금지금 확인하기 해외로 여행을 나갔을 때 한국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아야 할지 고민될 때가 있습니다. 특히 해외에서 불필요한 사용으로 과도한 요금을 내지 않기 위해 데이터 차단을 신청하고 가시는 경우, 걸려오는 전화를 받아도 될지 그리고 사용했을 경우 요금은 얼마인지 꼭 알고 대처하셔야 합니다. 즐거운 여행 이후에 요금 폭탄으로 좋았던 추억까지 날아가면 너무 아쉽잖아요. 자세히 보시고 즐거운 여행동안 현명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해외에서 국내로 전화거는 방법 해외에서 국내로 전화를 하는 방법은, ‘국가번호 + 상대방의 휴대전화번호 또는 지역번호에서 맨 앞의 0을 뺀 번호’를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르면 연결됩니다. 예시) 82(한국) + 1012345678(상대방 전화번호가 01..

여행 정보 2024. 4. 18. 09:39
2024 대구 서문야시장, 칠성야시장 개장

대구의 대표 야시장 두 곳이 개장했습니다. 대구서문야시장과 칠성야시장이 지난 4월 5일부터 개장했다는 소식입니다. 두 곳의 위치와 운영시간 등을 알아보고 어떤 재미가 있는지 오랜만에 가본 야시장 풍경을 담았습니다. 대구서문야시장 서문야시장은 서문시장 건해산물 상가 편 도로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주간에는 도로로 사용되지만 야간 야시장이 운영되는 저녁 7시부터 도로를 통제하고 야시장이 들어섭니다. 서문시장 주차타워에 미리 주차한 차들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건물옆길을 열어 주지만 야시장 개장시간에 주차타워 진입은 어렵습니다. 서문 야시장은 12월 말까지 주 3일(금, 토, 일) 저녁7시부터 운영됩니다. 우리가 간 날은 일요일 저녁 8시쯤이었는데 각 음식매대마다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선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음..

여행 정보 2024. 4. 13. 11:46
시차증후군을 이겨내는 확실한 방법, 6+1

해외여행 전후에 가장 걱정스러운 것은 시차로 인한 피로감입니다. 장거리 해외여행을 떠나면 현지 도착 이후와 귀국 이후 시차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여행이든 출장이든 현지에서 제대로 생활하고 돌아와서도 바로 적응하기 위해 시차적응 방법과 도움되는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제트 레그(Jet Lag)의 정의와 부작용 제트 레그(Jet Lag)는 생체리듬과 방문지의 시차로 인한 부조화로 발생하는 시차증후군을 말합니다. 세계의 시간대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장거리 해외여행에서 주로 나타나는 후유증입니다. 흔히들 서쪽으로 여행이 시차적응에 더 좋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동쪽으로 여행할 경우 해가 더 일찍 뜨는 시간대로 가기 때문에 잠자는 시간이 그만큼 빨라져 적응이 어렵고 이로 인해 피로감이 누적될 수 있기 때..

여행 정보 2024. 4. 10. 00:41
튀르키예 카파도키아에서 열기구 타기

언젠가 한 번은 열기구를 타고 하늘을 날아 보리라 생각했었습니다. 여전히 꿈꾸는 나의 오십 대를 위해 하늘에서 맞이한 아름다운 일출과 함께 다가올 새로운 날을 맞이하고 싶은 위시 리스트가 합쳐져 튀르키예 카파도키아로 떠났습니다. 튀르키예 카파도키아로 여행  묶여있던 삶에서 탈출하면서 첫 번째로 하고 싶었던 일이 여행이었고 이제부터 시동을 걸어보려고 합니다. 세계여행을 해야지 하는, 큰 목표를 두지는 않습니다. 그저 다른 곳에 사는 사람들과 그들의 삶이 궁금합니다. 그 속에 스며들어 함께 느끼며 소통하는 여행을 꿈꿉니다. 여행하며 만나는 사람들과의 교감은 또 얼마나 설레는 일일까요. 첫 번째 여행지로 튀르키예 카파도키아를 선택한 것도 우연은 아닐 것입니다. 첫 여행이니 만큼 특별한 무엇을 하고 싶었습니다...

나의 여행 이야기 2024. 4. 2. 16:32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32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여행을 사랑하는 사람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