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2024 대구 서문야시장, 칠성야시장 개장

대구의 대표 야시장 두 곳이 개장했습니다. 대구서문야시장과 칠성야시장이 지난 4월 5일부터 개장했다는 소식입니다. 두 곳의 위치와 운영시간 등을 알아보고 어떤 재미가 있는지 오랜만에 가본 야시장 풍경을 담았습니다. 대구서문야시장 서문야시장은 서문시장 건해산물 상가 편 도로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주간에는 도로로 사용되지만 야간 야시장이 운영되는 저녁 7시부터 도로를 통제하고 야시장이 들어섭니다. 서문시장 주차타워에 미리 주차한 차들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건물옆길을 열어 주지만 야시장 개장시간에 주차타워 진입은 어렵습니다. 서문 야시장은 12월 말까지 주 3일(금, 토, 일) 저녁7시부터 운영됩니다. 우리가 간 날은 일요일 저녁 8시쯤이었는데 각 음식매대마다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선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음..

여행 정보 2024. 4. 13. 11:46
시차증후군을 이겨내는 확실한 방법, 6+1

해외여행 전후에 가장 걱정스러운 것은 시차로 인한 피로감입니다. 장거리 해외여행을 떠나면 현지 도착 이후와 귀국 이후 시차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여행이든 출장이든 현지에서 제대로 생활하고 돌아와서도 바로 적응하기 위해 시차적응 방법과 도움되는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제트 레그(Jet Lag)의 정의와 부작용 제트 레그(Jet Lag)는 생체리듬과 방문지의 시차로 인한 부조화로 발생하는 시차증후군을 말합니다. 세계의 시간대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장거리 해외여행에서 주로 나타나는 후유증입니다. 흔히들 서쪽으로 여행이 시차적응에 더 좋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동쪽으로 여행할 경우 해가 더 일찍 뜨는 시간대로 가기 때문에 잠자는 시간이 그만큼 빨라져 적응이 어렵고 이로 인해 피로감이 누적될 수 있기 때..

여행 정보 2024. 4. 10. 00:41
한국여행시 K-ETA 신청방법, 유효기간, 수수료, 일시면제

대한민국에 무사증으로 입국하고자 하는 외국인은 K-ETA(Korea Electronic Travel Authoriztion)이라는 전자여행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제도가 생긴 지 얼마 안 되기 때문에 이를 잘 모르는 외국인 친구들이 있습니다. 신청방법, 유효기간, 수수료와 대상국가(지역)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방문의 해' 동안 일시면제가 적용되는 국가도 확인해보았습니다. K-ETA 제도  전자여행허가(K-ETA)제도는 2021년 9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되었습니다. 이전에 무사증 입국이 가능했던 112개 국가(지역) 국민은 한국행 항공기나 선박을 탑승하기 전에 사전에 K-ETA허가를 받아야만 탑승이 가능합니다. K-ETA는 비자가 아닙니다. K-ETA 허가를 받았다고 해도 대한민국의 입국을 보장하는 것은 아..

여행 정보 2024. 3. 15. 22:55
긴급여권 발급방법, 발급장소, 준비서류

여권이 없거나 기간이 만료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긴급하게 출국해야 하는 사정이 생겼다면, 당일 발급되는 긴급여권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긴급발급인만큼 비전자여권이며, 국가별 인정현황, 입국허가요건 등을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목차 긴급여권 발급 발급대상 갑작스런 출장이나 가족의 사고 등 불행한 일이 발생한 경우 등 긴급한 사유로 전자여권을 발급(재발급) 받을만한(재발급)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여권의 긴급한 발급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예들 들면 갑작스러운 출장의 경우, 항공권(사본), 재직증명서, 출장명령서, 출장업무 관련 초청장 또는 상대측에서 제안한 이메일 등으로 사업상 긴급 사유를 증명해야 합니다. ​ *긴급여권 발급이 불가능 경우 신청인이 1년 이내에 ..

여행 정보 2024. 2. 15. 10:53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여행을 사랑하는 사람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